“불나면 끝장입니다”… 소화전 앞 불법주차, 시민 분노 폭발한 이유

소화전 앞 막무가내 주차
붉은 연석도 소용없는 현실
시민 안전 위협하는 몰상식 행태

출처 : 보배드림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된 사진 한 장이 많은 이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우리 동네 불나면 다 죽는다’는 자조 섞인 제목의 게시물에는 다수의 차량이 소화전 바로 앞에 버젓이 주차된 장면이 담겼다. 붉은색 연석과 “주정차 금지” 안내 표지까지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불법 정차는 일상화돼 있는 모습이다.

화재 발생 시 소화전은 인명을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을 위한 핵심 설비다. 그러나 사진 속 차량들은 소화전 접근 자체를 차단하고 있으며, 좁은 골목길에서는 소방차 진입까지 어려운 상황이다. 안내 표지가 있음에도 불법 주차가 만연하다는 점은 단순한 시민의식의 부재를 넘어, 공공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금지구역 표시도 무시… 반복되는 위법에 제동 필요

실제 소화전 앞 주정차는 도로교통법상 명확히 금지돼 있다. 소화전 5m 이내 정차할 경우 8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소방활동을 방해할 경우 소방법에 따라 형사 처벌도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 속 차량들은 붉은 연석 위에 멈춰 서 있거나, 안내 표지 앞에 떡하니 세워져 있다.

이러한 행태는 외면받는 법보다 무서운 것이 없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잠깐이면 괜찮겠지”라는 운전자들의 안일함이 실제 화재 현장에서 소방 활동을 지연시키고,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여러 차례 언론 보도를 통해 입증됐다. 더 이상 단속의 한계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출처 : 보배드림

시민의식 없인 골든타임도 없다

해당 게시물을 본 시민들은 “이건 과태료가 아니라 살인미수로 처벌해야 한다”, “이 정도면 차주 얼굴 공개해도 된다”는 반응을 보이며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을 캡처해 신고하는 움직임도 확산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소화전 앞 불법 주차 근절을 위해 기술적 감시 시스템과 단속 강화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현장 대응은 미흡하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 개개인의 책임감이다. 소화전 앞에 주차하는 그 순간, 단지 불법이 아닌 ‘생명선’을 가로막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시민의식이 절실하다.

‘불나면 다 죽는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오늘의 불법 정차가 내일 누군가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경각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태료보다 무서운 것은 공동체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무관심’임을 잊어선 안 된다.